250x250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온도조절기
- Node
- xcode11
- Raspberry Pi
- anydo
- node.js
- REACT
- evernote
- Swipes
- 에버노트
- 라온익스
- IOT
- EditText
- __attribute__
- debounce
- 가스비절약
- 난방비절약
- react-native
- 네모안
- 나비엔
- 경동
- rasppi3
- 가스요금폭탄
- 온도센서
- npm moment
- 린나이온도조절기
- ReactNative
- todoist
- 기름보일러
- nodejs
Archives
- Today
- Total
어허
[에러] Segmentation Fault 본문
728x90
Segmentation fault에러는 커널 컴파일, 큰 애플리케이션의 컴파일 등에서 발생되며
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.
Signal 11
Bus Error
Abort
Signal 6
panic
Page fault
자주 나타나는 것이 Signal 11로 불리는 Segmentation Fault 이다.
원인은 상황에 따라 틀리지만 보통은 컴파일러/커널 버그, 하드웨어 문제일 경우가 많다.
다음과 같은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.
컴파일러/커널의 버그
컴파일 할려는 소스의 버그
스왑공간의 부족
시스템 전원공급부족
디스크 문제
- 펌웨어 버그(특히 SCSI 일경우)
- 부적절한 터미네이션(SCSI 일경우)
- 케이블의 연결 불량 및 노이즈문제(케이블이 낡은 경우)
메모리문제
- 다른 종류의 메모리 함께 사용
- 방열 불량
프로세서 문제
- 프로세서의 커널설정 오류
- 오버클럭/리마킹 제품 사요
- 프로세서의 호환성(칩셋)
[출처] Segmentation fault 에러 (컴텨) |작성자 화이
728x90
'개발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그라운드 실행 (0) | 2010.07.29 |
---|---|
타겟보드 ip 변경 (0) | 2010.07.29 |
kldp wiki (0) | 2010.07.26 |
configure 와 Makefile (0) | 2010.07.23 |
리눅스 크로스 레퍼런스 (0) | 2010.07.22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