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npm moment
- ReactNative
- 에버노트
- node.js
- 난방비절약
- 가스요금폭탄
- 기름보일러
- 가스비절약
- evernote
- 린나이온도조절기
- anydo
- __attribute__
- 나비엔
- EditText
- react-native
- Raspberry Pi
- 온도조절기
- rasppi3
- 네모안
- nodejs
- Node
- 경동
- xcode11
- debounce
- Swipes
- 온도센서
- IOT
- todoist
- REACT
- 라온익스
- Today
- Total
목록Table of Contents (107)
어허
>>> CodeVision AVR 의 경우 ex ) sfrb PORTB = 0xf;//라고 되어있으면 PORTB.0 = 1; PORTB.3 = 0; // 이런식으로 비트단위의 접근이 가능하다 ! 물론, PORTB = 0x01; // 이렇게 해서 0000 0001 로 함으로서 PORTB0을 1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이럴경우 나머지가 전부 0으로 되어버리기 때문에 1개씩 접근이 필요하였다 ! 두둥 오늘의 교훈, "검색도 실력이다" 팀장님은 검색마저 기가맥힌다 ;; >>> AVR studio의 경우 (WinAVR gcc 사용) PORTB |= 0x01 // PORTB.0 만 1로 변경 PORTB &= ~0x01 // PORTB.0 만 0으로 변경 Codevision avr이 코드작성면에서는 더 쉽다. AVR ..
: %g/지울거/d :1,$g/지울거/d 여기서 %는 전체라인 의미 1,$는 1부터 $(끝)까지 g 는 go d는 del "^M" 같은거 찾아 지우기 :%g/^[ctrl+v][ctrl+m]/d g/다음 '^'는 행의 첫 시작이 '^m'인걸 찾으라는 의미 그러니까 써지는건 :%g/^^M/d g 는 인자가 1개고 s는 인자가 두개 s는 바꾸기,
출처 : http://youthink.me/53 와우 ! 좋구먼 ㅋ 아이폰으로 SK_WLAN같은거도 비번만 치면 되려나 .. myLG070 , myLGnet - 123456789a , 987654321a ,1234567890 , myLGNetfe07 세븐일레븐 - 2127393302 HellowD(헬로D) , Hellowireless - 534f4b4354 KT_WLAN , KT SSID - 1234567890 , 123456789a , 1234567890c SK - a123456789, sktelecom EGG 택시 - SHOW3382 일반 EGG - Password , 디폴트 Egg 뒷번호는 제품 시리얼 넘버와 일치. 이건 디폴트라면 ssid 뒷자리와 동일 맥도널드 - 16005252 (매장배달번호)..
http://www.viplugin.com/viplugin/ 가서 다운을 받고, 압축풀고, 같은이름의 폴더에 복사 붙여넣기 ! 그다음 이클립스의 preference (?) 에 general -> key 에 스키마를 vi로 변경 ! 뭔가 경고가 나오는데, 유료로 전환하라는건지 ,, 그냥 무시하고 사용하면 됨
http://graphicsweb.wsj.com/documents/YearInPhotos10/year-in-photos-2010.html?mod=e2fb
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kgw1729&logNo=140062753310&redirect=Dlog&widgetTypeCall=true CRC(Cyclic Redundancy Check) CRC는 생성 다항식(generator polynominal)이라 불리는 고정 크기의 키 값(제수, divider)으로 데이터 블럭의 값을 차례대로 나누어서 그 나머지를 누적시키는 일종의 해시 함수이다. 이때 생성 다항식을 어떤 값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데이터 블럭 내의 오류 패턴을 검출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. 보통 한 두개의 비트 오류는 물론 연속적으로 비트 오류가 발생되는 버스트 에러까지도 99.99% 이상 감지한다. 국제 표준으로 아래 3가지의 생성..
출처: http://hayanmail.com/jsy CRC(Cyclic Redundancy Check)는 시리얼 전송에서 데이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에러 검출 방법의 일종이다. 간 단한 에러 검출방법으로는 parity 비트에 의한 방법과 check-sum에 의한 에러 검출 방법이 있지만 parity 비트에 의한 방법은 데이타 중에 한꺼번에 2비트나 4비트가 변하게 되면 검출을 할 수 없고, check-sum에 의한 방법은 한 바이트에서 +1, 다른 바이트에서는 -1로 에러가 생기는 경우만 해도 에러는 검출 되지 않는다. 즉, 이들 방법으로는 에러를 검출해 낼 수 있는 확률이 대단히 낮다. CRC에 의한 방법은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며 에러 검출을 위한 오버헤드가 적고, 랜덤 에러나 버스트 에러를 포함..